2025-08-20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서강대학교 물리학과 정명화 교수께서 선정되셨습니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2025년 ‘세계 양자 과학기술의 해’를 기념하며, 세계 최초로 ‘양자역학적 스핀(spin) 펌핑 현상’을 실험적으로 입증한 정명화 교수를 수상자로 선정하였습니다. 정명화 교수의 연구는 스핀트로닉스 기술의 실용 가능성을 확장하며 차세대 양자소자 및 스핀 기반 반도체 기술의 사고체계(패러다임) 전환을 촉진할 핵심 성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 논문 정보 * 저널명: nature * 논문명: Signatures of longitudinal spin pumping in a magnetic phase transition * DOI: https://doi.org/10.1038/s41586-024-08367-z
국립부경대학교 홍지상 교수 [과총]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선정
2025-07-18
<국립부경대학교 홍지상 교수> 국립부경대학교 홍지상 교수께서 한국자기학회의 영문지인 Journal of Magnetics에 게재한 논문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셨습니다. (논문명: Strain-dependent Magnetic Properties of Two-dimensional Fe3GaTe2 ) 축하드립니다!
2025-04-24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황찬용 박사께서 과학기술훈장(도약장)을 수훈하셨습니다. 과학기술훈장은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황찬용 박사님은 스핀트로닉스 분야 전문가로 40여년간 국책과제 및 국제 공동연구 수행으로 스핀물성분석 장비 개발 및 표준화 등 스핀트로닉스 소재 및 측정기술 혁신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훈장을 수상하셨습니다.
2025-04-24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유천열 교수께서 과학기술훈장(진보장)을 수훈하셨습니다. 과학기술훈장은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유천열 교수님은 자성소재소자 분야의 저명학자로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관련 연구로 210여 편의 우수 연구논문을 저술하는 등의 활동으로 한국 자성 관련 학문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훈장을 수상하셨습니다.
2025-04-24
2025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서울대학교 최석봉 교수께서 과학기술훈장(도약장)을 수훈하셨습니다. 과학기술훈장은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훈장으로, 최석봉 교수님은 자성체 스핀트로닉스 분야의 대표적 학자로서 20년간 교육과 연구에 헌신하며 대한민국의 연구 수준을 제고하고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 훈장을 수상하셨습니다.
2025-02-17
연세대학교 이우영 교수께서 주도한 ‘결정성 나노 다공성 소재 기반 고감도 및 고선택성 가스 센싱 원천기술 개발’ 연구가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습니다. 이번 연구는 고성능 전자재료 및 센서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며, 특히 초미세 농도의 NO₂ 가스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우수한 성능을 바탕으로, 자동차 배기가스와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 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출처: 연세소식, 연세대학교 나노소자연구실(연세대학교 나노소자연구실입니다) ■ 논문 정보 * 저널명: Advanced Materials * 논문명: N-Carbon-Doped Binary Nanophase of Metal Oxide/Metal-Organic Framework for Extremely Sensitive and Selective Gas Response * DOI: https://doi.org/10.1002/adma.202309041
한국재료연구원, 중희토류 사용 않는 고성능 영구자석 개발
2025-02-04
<한국재료연구원(KIMS) 김태훈 박사(좌측에서 3번째), 이정구 박사(좌측에서 4번째)>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 최철진/이하 재료연) 나노재료연구본부 김태훈, 이정구 박사 연구팀이 연세대학교 이우영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가의 중희토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성능 영구자석을 제작할 수 있는 독자적인 신규 입계확산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셨습니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252 (2025.02.03) ■ 논문 정보 * 저널명: Acta Materialia * 논문명: A novel two-step grain boundary diffusion process using TaF5 and Pr70Cu15Al10Ga5 for realizing high-coercivity in Nd-Fe-B-sintered magnets without use of heavy rare-earth * DOI: https://doi.org/10.1016/j.actamat.2024.120660
울산대학교 김상훈 교수 [과총] 제34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선정
2024-07-17
<울산대학교 김상훈 교수> 울산대학교 김상훈 교수께서 한국자기학회의 영문지인 Journal of Magnetics에 게재한 논문으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주관 "제34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하셨습니다. (논문명: Angular Dependence of Transverse-Type Hall Magnetoresistance with Non-saturated Magnetization) 축하드립니다!
한국재료연구원 최철진 박사, 한국재료연구원 제7대 원장 취임
2024-04-22
<한국재료연구원 최철진 박사> 우리학회 제15대 부회장이신 최철진 박사께서 한국재료연구원(KIMS) 제7대 원장으로 취임하셨기에 안내드립니다. 신임 최 원장은 이날 오전 한국재료연구원 창원 본관동 강당에서 취임식을 갖고 임기 3년의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최 원장은 취임사에서 "모든 국민이 소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하게끔 만드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의 실현을 위해 앞으로 국내 재료연구 개발 허브기관인 MOP(Materials Open Platform) 구축, 제2캠퍼스 및 극한소재 기반 조성, 국가 소재 정책 주도적 참여, 연구원 조직체계 유연성 강화, 평가시스템 혁신과 개방형 연구환경 구축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소재 원천기술 개발과 강대국의 기술·자원 무기화에 대비한 소재 국산화를 이뤄내야 한다"면서 "진정한 '소재강국'은 소재산업의 발전만으로 형성되지 않고, 온 국민이 생활 속에서 소재를 느끼고 그 중요성을 인식하게 될 때 비로소 이루어질 수 있는 만큼 모두 힘을 모아 최선을 다해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최철진 원장은 창원 태생으로 마산고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금속공학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재료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1986년 한국재료연구원에 입원해 나노분말재료그룹장, 나노기능분말연구그룹장, 분말·세라믹연구본부장, 분말재료연구본부 책임연구원 등을 수행했고, 산업기술연구회이사장상,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 국무총리 표창 등을 받았다. 출처: 뉴시스 한국재료연구원 제7대 원장에 최철진 박사 취임 (naver.com) (2024.04.22)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 장준연 분원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 위촉
2023-12-21
<KIST 강릉 천연물연구소 장준연 분원장> 우리학회 제16대 부회장이신 장준연 분원장께서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위원으로 위촉되었기에 안내드립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는 국가과학기술 혁신을 위해 설치된 대통령 직속 기구로 대통령이 의장을 맡는다. 주로 과학기술 발전 전략 및 주요 정책방향과 제도 개선, 정책 등에 관한 사항을 대통령에게 자문한다. 또 과학기술 주요 정책·산업화 관련 인력·기술혁신정책, 예산의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한다. 장준연 분원장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활동을 통해 과학기술분야의 다양한 정책 추진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기반 마련에 힘쓸 것”이라며 “지역 전략산업 육성과 연계해 과학기술 분야 발전을 위한 지역 특화산업 창출 및 혁신모델 구축이 이뤄지도록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외에도 과기정통부 연구제도개선위원회 위원, 다부처 스마트팜 연구개발사업단 이사, 기재부·산업부 신성장원천기술 세액공제위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출처: 강원일보 https://kwnews.co.kr/m/page/view/2023112710375070720?fbclid=IwAR3qU0DihsQbMAsxTH24sezTRnxv1LbgIQ1b16T7CTsCeevlvwQpaxqLaYM (2023.11.27)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7길 22(역삼동 635-4)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905호 (06130)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자기학회. ALL RIGHTS RESERVED.